* 2014년 3월 28일부터 4월 27일까지 진행한 『나는 사회인으로 산다』 출간 기념 이벤트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여러분의 답변을 단순한 이벤트로 흘려버리기에는 아까워 궁리닷컴에 소중하게 공유합니다. 당첨자들에게는 책을 보내드렸습니다. 다시 한 번 참여해주신 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Q∥사회인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A ∥ # 사회인이란 ‘생각하는 자’이다. 함께 살고 있는 세상에 대해, 자기 자신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점점 줄고 있는 것 같다. 물론 행동이 더욱 중요하겠지만 올바른 행동이 하루아침에 쉽게 나올 거라고 보지는 않는다. 좋은 생각이 좋은 사회를 만들 거라는 믿음으로... (루*, 알라딘)
# 사회인이란 사람답게 살려는 희망이 회의감으로 변해갈 때도 인내로 품고 사는 사람이다. (꿈**희망, 알라딘)
# 사회인이란 ‘창문’이다. 자신만의 밀실과 외부의 광장을 적절하게 연결하면서 살아야 하는 존재다. 낮에는 문을 활짝 열고 커튼을 걷어야 하고 밤에는 반대로 하듯이, 자신과 타인들과의 관계와 소통을 조절하며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우**사, 알라딘)
# 사회인이란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이다. (mon**na0, 예스24)
# 사회인이란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방황하는 사람’이다. (wat**elf, 예스24)
# 사회인이란 ‘자기 밥벌이를 할 사람’이다. (am**tion, 예스24)
# 이타인利他人. 내가 다른 사람들의 시련과 고통에 함께 아파하고 공감하며 문제해결을 위해 같이 행동해주고 다른 사람들 역시 나를 위해 그렇게 해주는, 그런 사람이어야겠죠. (푸**대, 예스24)
# 사회인이란 ‘끊임없이 경쟁하는 사람’이다. (윤*1, 예스24)
# 사회인이란 ‘정글의 법칙에서 생존하는 사람’이다!!! (올**이, 예스24)
# 사회인이란 내 돈 벌어서 살아야 하는 사람이다. (jjkb1**, 인터파크)
# 사회인이란 사회 속에 살지만, 그 속에 함몰되는 것이 아니라 군계일학처럼 자신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사람이다. (ohji**, 인터파크)
# 사회인이란 성숙한 인간미를 지닌 정신 제대로 박힌 사람들이다. (kje16**, 인터파크)
# 사회인이란 뉴스에 나오는 사건들을 남의 일처럼 여기지 않고 관심을 기울일 줄 아는 사람이다. (namkh19**, 인터파크)
# 사회인이란 독립생활을 유지하며 즐길 줄 아는 사람이다. (okja05**, 인터파크)
# 사회인이란 친절한 사람이다. 누구에게나 웃으며 친절하게 대해야 할 수밖에 없는 게 사회가 아닌가 한다. (za**ark, 교보문고)
# 내가 사는 집도 내가 지은 집은 아니고 많은 사람들이 다니는 회사에서 지어준 집입니다. 아침에 출근하는 방법도 나 혼자서의 방법이 아닌 다른 많은 사람의 노력으로 나는 이용하고 있습니다. 식사도 나 혼자서의 방법이 아닌 다른 사람들의 노력 덕분에 나는 식사를 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나의 노력으로 다른 사람들이 얻는 것도 있습니다. 혼자서 이 모든 것을 하면서 살아가도 괜찮은 아주 능력이 있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나는 혼자서 살 수 있는 능력이 없으니까 이 사회에 묻어서 살아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런 것이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누군가 아침에 깨끗한 길을 걸어가는 것은 밤사이에 누군가가 노력한 덕분입니다. 혼자서 살아갈 수 있는 능력자가 아니라면 이 사회 안에서 ‘사회인’으로 살아가는 것에 감사하고, 나를 사회 안에 넣어준 사람과 사람들에게 감사하고 있습니다. (마*호, 페이스북)
# 제가 생각하는 사회인이라? 우리가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라고 말하고 싶어요. 이렇게 우리는 사회성을 키워야 하는 경쟁이 난무하는 사회인데, 어떻게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지 배워야 하고 배우는 존재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혼자서 못 살고 서로에게 의지하면서 힘이 되어주는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Eussin **en, 페이스북)
# 사회인이란 ‘일과 사람들 사이에서 도를 닦는 사람’이다. (HyunJu ***, 페이스북)
# 사회인이란 무엇인가? 사전에 나오는 정의 말고, 지금 내가 실제적으로 느끼고 있는 사회인의 정의(定義), 혹은 내가 그리고 있는 ‘사회인’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존재인가?
단순히 나이만 먹는다고 해서 사회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학교를 졸업하고 일을 안 하고 있는 청년백수는 사회인인가? 아니 그는 사회인이 아니다. 간신히 사회의 구성원이라는 망 안에 포함될지 몰라도, ‘적극적 의미’의 사회인은 아닌 것이다.
사회인이란 무엇일까? 직장인과 사회인은 동의어인가? 직장인이 되면, 취업을 하면 사회인이 되는 것일까? 적어도 ‘청년백수’, 간신히 사회의 구성원이라는 망 안에 걸린 망둥어 신세는 면하게 된다. 적어도 사회라는 바다의 짠 물을 들이키기 시작한 연어 정도는 된다.
직장인이면 일단 사회인의 범주에 넣어놓고 볼 수는 있어도, ‘좋은 사회인’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렇다면 ‘좋은 사회인’이란 ‘좋은 직장인’, ‘업무처리 능력이 뛰어난 직장인’의 동의어일까? 사내 인간관계를 포함한 모든 업무처리 능력이 뛰어난 직장인이라면, 분명 ‘좋은 사회인’ 이전에 훌륭한 인재이며 회사에서 꼭 필요한 존재다. 거기다가 그의 업무능력은 알게 모르게 회사에, 지역사회에, 그리고 한국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도 ‘좋은 사회인’이라고 하기에는 뭔가 2% 부족함을 느낀다.
‘좋은 사회인’이란 바로 우리 사회, 작게는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가진 사람, 자기가 맡은 직장 내에서의 업무는 물론 ‘공동체의 업무’에 있어서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의견을 발언하고, 관계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사람,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애정을 가진 사람, 그런 사람이 ‘좋은 사회인’이 아닐까 싶다. (길*임, 페이스북)
# 사회인이란 책임을 지는 사람이다. 자신의 일을 책임지고 누군가를 부양하고 이런 책임의 짐을 지게 되면서 사회에서 누군가와 관계를 재고 살아가는 게 사회인. (한*천, 페이스북)
# 사회인이란 ‘부끄럽지 않은 사람’이다.
이제 제 나이 서른이 넘었네요. 수많은 일을 겪으면서 느낀 건데.. 사회에 첫발 딛고.. 일을 시작하면서.. 실수와.. 사회인으로 거듭나기 위한.. 사회 초년생으로 지내고 경력자로 오면서 결국.. 사회인이란.. 부끄럽지 않은 사람이 바로!! 사회인이라 일컬을 수 있을 거 같아요.. 능력이 우선이고.. 스펙이 뒤를 따르는 시대만큼 더 발전하는 내가 부끄럽지 않은 사람 아닐까요. ^-^ (신*은, 페이스북)
# 주변사람들과 소통하면서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사람 (김*영, 페이스북)
# 사회인이란 행복한 사람 (정*문, 페이스북)
# 사회인이란, ‘나’보다는 ‘공익’을 우선시하면서 사는 것을 말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선택의 순간에 가장 기준이 되는 것이 바로 ‘나 자신’인데요~ 물론 가장 중요한 선택기준이고, 반드시 준수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나와 관련된~ 나의 인생에서 선택의 순간이 올 때 기준이 되는 것이고~ 내가 사회인으로서는 무언가를 선택해야 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이 바로 ‘공익’이라고 생각합니다. 사회인이 되기 전에는 나 중심적인 사고방식으로 살았다고 하면 내가 사회구성원으로서 한 역할을 하게 될 때는 공익을 준수해야 할 것 같아요. (정*라, 페이스북)
# 사회인이란 축복이다. 사회라는 정글 속을 나 스스로 헤쳐나아가야 할 내 인생의 개척. 부모님도 대학을 졸업할 때 대학생이 아닌 사회인이란 것을 명심하기를 당부하시고 앞날의 축복을 빌어 주셨으니 아마도 축복이겠죠. (오*원, 페이스북)
# 사회인이란 ‘끊임없는 노력’이다.
모두가 사회인의 범주에 들 수는 있으나 끊임없이 노력하지 않으면 아무 의미 없으니까. (심*영, 페이스북)
# 사회인이란 그 사회에 융화되어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다하는 인간이다. (김*하, 페이스북)
# 사회인이란 ‘환경에 적응한 인간’이다. 그동안 다른 세계에 있던 사람이 사회라는 다른 환경에서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적응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해요. (JuHyeo** Cho, 페이스북)
# 사람들과 소통하며 끊임없이 노력하는.. 노력인입니다.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면서.. 다양한 사람들 속에서 자아실현 + 사회발전도 기여해요^^ (이*숙, 페이스북)
# 사회인으로 사는 것은 ‘어울림’이다.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서로의 개성도 표현하고 드러내면서 서로의 장단점을 보듬어주는 사회인.. (김*선, 페이스북)
# ‘사회 속의 개인’ (한*봉, 트위터)
Q∥당신은 지금 어떤 사회를 꿈꾸고 있나요?
A ∥ # 청년세대가 집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사회 (k**o, 알라딘)
# 사회인이 ‘꿈’을 지킬 수 있는 사회 (r**ie, 알라딘)
# 이 사회에서 살게 하는 게 미안해서 아이를 낳을지 말지 고민하지는 않아도 되는 사회 (관*객, 알라딘)
# 제가 꿈꾸는 사회는 ‘핵이 없는 사회’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에너지 정책부터 환경에 대한 인식의 변화까지, 서서히 바꿔나가야 할 부분들이 많겠죠. 사회인으로서 많은 분들과 함께 고민하고 싶습니다. 그야말로 연대가 필요한 문제인 것 같아요. (쩡*, 알라딘)
# 억울한 사람이 없는 사회 (vin**vihae, 예스24)
# 저마다 아름다움에 대한 기준이 있고 이를 지키려 하는 자존심이 있는 사회.
이 시대의 사회인이란 무엇일까요? 우리가 원하는 사회는 어떤 모습일까요? 자기계발과 힐링은 각 개인에게만 어떤 삶의 방식을 강요하는 것 같아 불편한 부분도 있습니다. 특정한 기준만을 강요하는 현 사회에서 사람들은 진정한 아름다움을 잃고 있습니다. 이번 책에서 그리는 ‘새로운 삶의 방식’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mon**na0, 예스24)
# 남에게 강요당하지 않는 사회. 즉, 자신만 옳고 다른 이는 ‘다른 것’이 아니라 ‘틀린 것’이라고 확신을 하고, 자신이 세상을 보는 관점을 받아들이도록 강요하는 사회에서 벗어나기를 희망한다. (wat**elf, 예스24)
# 경쟁 안에서 실력만큼 인정받고 평가받을 수 있는 사회 (윤*1, 예스24)
# 저마다가 웃음의 색깔이나 의미는 다를지 몰라도, 결국은 웃으면서 살 수 있는 사회... 그런 곳을 만나고 싶네요. (뻑*, 예스24)
# 내가 감히 꿈꾸는 사회는 빈부격차에서 오는 절망감이 없는 사회. 혈연, 지연, 학연이 없는 모든 사람이 공평하고 스스로를 부정하는 것이 아닌 스스로를 인정하는 사회를 꿈꾸고 있습니다. (큰*마, 예스24)
# 마음과 마음이 소통하는 사회에 살고 싶습니다. 사회의 갈등과 대립은 소통이 안 되어서 단절되어서 오해와 편견에 의해서 생기는 것 같기에 서로서로 대화가 되는 마음이 통하는 소통사회에 살고 싶습니다. (ci**37, 예스24)
# 안전한 사회에서 살고 싶답니다. 다른 것은 다 재껴두고라도 제발 이 땅에 다시는 안전문제로 사고가 나는 일이 없었으면 합니다, 안전한 사회에 살고 싶은 것이 그렇게 힘든 건가요? (브*샤, 예스24)
# 외모나 배경과 같은 실력 외적인 것에 상관없이 오로지 실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사회 (nun**, 인터파크)
# 눈에 보이는 것보다 마음을 중시하는 진심과 진심이 통하는 사회 (ohji**, 인터파크)
# 정직하게 살아가는 사람들만이 대접받는 사회가 되길 바랍니다. 제발~~~ (kje16**, 인터파크)
# 소수의견에 귀 기울이는 사회! (namkh19**, 인터파크)
# 염치를 아는 사회를 꿈꾼답니다. 곤궁한 사람을 보며 측은지심을 느끼는 사람은 많지만 제 눈에 들보를 온전히, 제대로 인지하며 반성하는 사람이 많지 않은 것이 현실. 쉽게 공감과 소통을 이야기하지만 그 전에 우선해야 할 것은 지금껏 내가 잘못한 것들에 대한 온전한 성찰과 반성이 아닐까 싶습니다. (is**a5025, 교보문고)
# 정직하게 열심히 노력하면 성공하는 사회요~! (홍*기, 페이스북)
# 아이를 가질 때 망설이지 않을 수 있는 사회를 꿈꿔보아요. 결혼하고 1년이 지난 지금도 경제적인 문제로 아직 아이가지는 걸 미루고 있는 현실 속에 살고 있네요. 회사 다니면서 대학원까지 다녀서 경제적인 문제를 무시할 수 없는 현실에 너무 서글퍼지네요. 아이를 키우는 데는 더 많은 돈과 노력이 필요한데, 맞벌이에 시간도 모자라고 돈도 여유치 않기에 선뜻 바로바로 아이를 가질 수 없게 되네요~ 그래서 아이를 낳는데 망설이지 않을 수 있는 사회가 빨리 왔으면 좋겠네요. (김*애, 페이스북)
# 범죄예방이 잘 된 사회를 꿈꿉니다~
사람은 혼자서는 절대로 살아갈 수 없는 사회적 동물이라 배우며 자랐죠. 어렸을 땐 몰랐으나 성인이 되고 애엄마가 되고 보니 자연스레 깨달아지더라구요!
내가 힘들고 슬프고 외로울 땐 슬픔을 나누면 반이 되고, 내가 기쁘고 행복하고 즐거울 땐 기쁨을 나누면 배가 된다는 사실을 말이에요~ 아무리 급변하고 각박한 사회라지만, 인생을 함께 살아가는 동반자라 생각하고 서로를 조금만 더 이해하고 참는다면 더 나은 세상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무서운 범죄를 지은 범인들을 보면 대부분 이런 점들을 간과하고 지나치기 때문에 무서운 행동들을 저지르는 거 같아요~ 자기의 입장만 너무 생각하고, 자기의 욕심만 채우려고 하고, 자기만 피해자라 생각하는 생각들이야말로 사람은 사회적 동물임을 망각했기 때문인 거죠!!
아이가 있으면 너무 행복해야 하는데, 한편으론 무서운 범죄들 때문에 너무 걱정되는 현실이 슬프네요~~ (이*선, 페이스북)
# 소유가 아니라 공유를 지향하는 사회, 물질이든 정신이든 함께 만들고 함께 나누는 사회. (김*무, 페이스북)
# 제가 꿈꾸는 사회는... 누구나 노력하고 원하는 만큼 일자리를 구할 수 있고 정직하게 일해서 성공할 수 있는 사회 그리고 개개인 모두가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배려해주는 사회입니다. (HyunJu ***, 페이스북)
# 직업에 귀천이 없는 사회 땀 흘리고 노력한 만큼 대우를 받는 사회요. (최*준, 페이스북)
# 너와 나. 그리고 우리 모두 함께 하는 사회 (박*진, 페이스북)
# 부정부패 없는 사회를 꿈꿔요!! (리*진, 페이스북)
# 사회인으로서 저는 나누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물질과 능력을 많이 가진 사람만이 나눌 수 있는 것은 아니에요~ 제가 가진 것들이 사회구성원들과 사회발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면 저는 나누면서 베푸는 역할을 하는 사회구성원으로 살고 싶어요. (정*라, 페이스북)
# 문화생활을 향유하며 자아성취를 이룰 수 있는 사회를 꿈꿉니다. (김*하, 페이스북)
# 사회에서 다양한 노력의 대가가 이루어지고. 사람들의 앞날을 위해 경쟁 속에서 발전지향적인 모습이 이루는 사회요^^ (이*숙, 페이스북)
# 서로의 장점을 추켜세우고 일으키며. 단점을 보듬어주는 사회를 함께 꿈꿉니다!! (김*선, 페이스북)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