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연/고장원/한창완/이상용/함성호/윤민영/박상준/정근원/전영백/이초식/양형진/우정원/김제완/홍성욱(지음) | 정재승(기획)
판형 : 152*223mm | 분량 : 316쪽 | 정가 : 10,000원
종이책 ISBN : 89-5820-032-4 (03400)
출간일 : 2005년 5월 19일
분야 : 자연과학
아인슈타인의 어깨 위에서, 20세기 문명을 조망한다! 상대성이론, 그 후 100년을 돌이켜보다 상대성이론이 과학의 경계를 넘어서 우리 삶에 밀접한 문화와 어떤 접점을 갖고 있는지 가늠해볼 때, 그 시대적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온전히 되짚어볼 수 있지 않을까? 사실 아인슈타인의 일생을 소개하는 책, 상대성이론의 과학적 이해를 돕는 책은 여러 권 출간되어 있다. 하지만 상대성이론이 과학 외에 철학이나 예술 같은 다른 분야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총체적으로 분석하는 책은 국내외를 통틀어 찾아보기 어려웠다. 2005년은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을 발표한 지 꼭 100년이 되는 해이다. 상대성이론의 의미를 온전히 이해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출간한 이 책이 상대성이론에 대한 그리고 지난 세기에 대한 새로운 통찰이 되리라 기대한다. 상대성이론은 20세기 문화를 어떻게 바꾸었나?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1부에서는 상대성이론의 현재적 의의를 되짚어보며 아인슈타인의 일생을 간략하게 개괄하고(1·2), 상대성이론이 만들어지기까지의 시대적 배경과 그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인물들을 통해 아인슈타인과 상대성이론에 덧씌워진 천재성과 창의성의 베일을 들추어본다.(3) 그리고 상대성이론을 물리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4) 나아가 새로운 세계관으로서 상대성이론이 의미하는 바를 생각해볼 수 있도록(5) 구성하였다. 2부에서는 철학을 시작으로 미술과 사진, 문학과 음악과 건축, 영화와 애니메이션과 광고 그리고 우리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과학 분야에서의 발견이 당대 인류의 문화예술 전반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오늘날 그 영향은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지를 분야별로 들여다본다.
2005 대한출판문화협회 선정 올해의 청소년도서 2005 한국과학문화재단 선정 우수과학도서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를 졸업하였다. 서울경제신문과 동아일보 기자를 거쳐 현재 동아사이언스 과학동아 기자로 있다. 쓴 책으로는 『상대성 이론, 그 후 100년』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1991년부터 대홍기획과 제일기획에서 광고 제작 프로듀서로 일하였으며, 2002년부터 디지털 쌍방향 방송 컨텐츠 서비스 기획자로 변신하여 현재 SK C&C의 컨텐츠 개발 사업팀에서 근무 중이다. SF와 관련해서는 남다른 애정과 식견을 지닌 덕분에 2004년 동아사이언스 과학신춘문예 심사위원을 맡았으며, 저서로는 『디지털 방송 광고 마케팅의 이해』와 『SF로 광고도 만드나요』『상대성이론, 그 후 100년』등이 있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현재 세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국제애니메이션필름협회 한국지부(ASIFA Korea) 사무국장과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SICAF) 수석 큐레이터 및 코디네이터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애니메이션센터 실무위원 및 부천만화정보센터 이사를 맡고 있다. 문화관광부(한국문화콘텐츠 진흥원) 및 산업자원부(한국디자인진흥원) 등에 정책자문을 하고 있으며, 만화애니메이션 산업에 관심 있는 기업들에게 프로젝트 자문을 하는 등 컨설턴트로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한국만화산업연구』 『애니메이션 경제학』 『저패니메이션과 디즈니메이션의 영상전략』 『애니메이션 용어사전』 『상대성이론, 그 후 100년』(공저) 등을 저술하였다.
중앙대학교에서 영화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제2회 《씨네21》 신인평론가상을 수상했으며 《필름2.0》의 스태프 평론가로서 활동하고 있다. 『씨네21 감독사전』 『한국단편영화의 쟁점들』『상대성이론, 그 후 100년』 등을 공동으로 저술하였다.
강원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였다. 1990년 계간 《문학과 사회》 여름호에 〈비와 바람 속에서〉를 발표하면서 시단에 나왔으며, 1991년 건축전문지 《공간》에 건축평론이 당선되어 건축평론가로서도 활동하고 있다. 현재 건축설계사무소 EON을 운영하고 있다. ‘21세기 전망’ 동인이며, 시집 『56억 7천만 년의 고독』 『성 타즈마할』 『너무 아름다운 병』을 비롯하여 『허무의 기록』 『만화당 인생』 『건축의 스트레스』 『상대성이론, 그 후 100년』(공저)등을 저술하였다.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국립 핵연구소와 일본 도쿄 대학교 원자핵연구소 연구원을 지내고 미국 브룩헤븐 국립연구소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기초과학공동기기원 책임연구원으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상대성이론, 그 후 100년』(공저)가 있다.
한양대학교 지구해양학과를 졸업하였다. 과학소설 기획번역가이자 과학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SF 해설서 『멋진 신세계』를 엮은 것을 비롯해 『토탈 호러』 『화씨451』 등을 편역하였으며, 지은 책으로는『로빈슨 크루소 따라잡기』(공저)『상대성 이론, 그 후 100년』(공저) 등이 있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신문방송학 석사를, 프랑스 스트라스부르그 대학교에서 환경과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조선대학교 산업미술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서울 및 북경 ‘젊은미래영상제’를 주관하고 대전 EXPO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영상 관련 사회 활동이나 방송·집필 활동에 힘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상대성이론, 그 후 100년』(공저)가 있다.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에서 미술사학 석사, 영국 리즈 대학교에서 미술사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예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Journal of Visual Culture》 편집위원으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상대성이론, 그 후 100년』(공저) 가 있으며, 『고갱이 타히티로 간 숨은 이유』 『일상문화 속의 현대미술』 『후기구조주의와 후기모더니즘』 등을 번역하였다.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교육대학교와 건국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고려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인공지능의 철학』 『귀납논리와 과학철학』 『한국의 과학문화』 『상대성이론, 그 후 100년』(공저) 등을 저술했으며, 한국과학기술학회 명예회장이자 한국철학교육아카데미 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아나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미국 매릴랜드 대학교 철학과 교환교수를 거쳐 현재 고려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및 정보보호대학원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양자암호 및 양자정보이론을 연구하고 있으며, 쓴 책으로 『산하대지가 참빛이다』 『과학으로 세상보기』『상대성이론, 그 후 100년』(공저)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에서 물리학 석사학위를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상대성이론, 그 후 100년』(공저) 가 있다.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40여 년 동안 입자물리학을 연구하였고 현재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명예교수이자 한국과학문화진흥회 회장으로 있다. 쓴 책으로 『빛은 있어야 한다-물리학의 세계를 찾아서』 『겨우 존재하는 것들』 『상대성 이론, 그 후 100년』등이 있다. 2005년 세계 물리의 해 한국 행사조직위원회 위원장으로서 활발한 과학 대중화 사업을 벌이고 있다.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과학사를 전공하여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캐나다 토론토대학교에서 박사 후 과정을 거쳐, 1995년에 같은 대학 과학기술사철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고, 2000년에 종신교수가 되었다. 매사추세츠공과대학 디브너연구소 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의 전공주임을 맡고 있다. 저서로 『잡종, 새로운 문화 읽기』(창작과비평사, 1998),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 기술』(문학과지성사, 1999), 『네트워크 혁명, 그 열림과 닫힘』(들녘, 2002), 『파놉티콘, 정보사회 정보감옥』(책세상, 2002), 『하이브리드 세상 일기』(안그라픽스, 2003), 『인문학으로 과학 읽기』(공저, 실천문학사, 2004), 『과학은 얼마나』(서울대출판부, 2004), 『과학으로 생각한다』(동아시아, 2007), 『홍성욱의 과학 에세이』(동아시아, 2008) 『상대성이론, 그 후 100년』(공저) 등이 있으며, 편역서로 『남성의 과학을 넘어서』(공저, 창작과비평사, 1999), 『2001 싸이버스페이스 오디세이』(공저, 창작과비평사, 2001), 『과학, 그 위대한 호기심』(공저, 궁리, 2002) 『현대 과학의 풍경』(공저, 궁리, 2009) 등이 있다.
기획 | 정재승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연구원, 고려대학교 물리학과 연구교수,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내 최초의 라디오 과학 프로그램 『도전 무한 지식』을 진행했다. 지은 책으로는 『정재승의 과학콘서트』『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 등이 있으며 『상대성이론, 그 후 100년』『일본과학대탐험』등을 기획하였다.
차례
1부∥상대성이론, 세상의 빛을 보다
1. 아인슈타인과 오늘 / 김제완(서울대학교 물리학과 명예교수, 한국과학문화진흥회 회장)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쓴 상대성이론
2. 아인슈타인, 그는 누구인가 / 정재승(한국과학기술원 바이오시스템학과 교수)
20세기를 관통한 아인슈타인의 찬란한 생애
3. 천재성의 비밀 / 홍성욱(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상대성이론이 만들어지기까지
4. 상대성이론 따라잡기 / 우정원(이화여자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상대성이론이란 무엇인가?
5. 상대성이론이 바라본 세계 / 양형진(고려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와 시공간
2부∥상대성이론, 빛의 속도로 20세기 문화와 충돌하다
1. 철학 / 이초식(고려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한국과학기술학회 명예회장)
상대성이론, 철학적 난제를 풀다
2. 미술 / 전영백(홍익대학교 예술학과 교수)
보이는 대로 그리기란 쉽지 않다
3. 사진 / 정근원(조선대학교 산업미술대학 교수)
사진 영상, 시간과 공간을 복제하다
4. SF문학 / 박상준(과학 칼럼니스트)
상대론적 상상력의 새로운 지평
5. 음악 / 윤민영(서울대학교 기초과학공동기기원 책임연구원)
새로운 규칙성의 발견, 상대성이론과 현대음악
6. 건축 / 함성호(건축평론가, 건축설계사무소 EON 소장)
휘어진 공간, 휘어진 건축
7. 영화 / 이상용(영화평론가)
아인슈타인이라는 영화관
8. 애니메이션 / 한창완(세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교수)
무한 공간에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시간의 발전소
9. 광고 / 고장원(SK C&C 컨텐츠 개발 사업팀 차장)
아인슈타인, 과학자에서 상업적 아이콘으로
10. 생활 / 김상연(동아사이언스 과학동아 기자)
일상생활 곳곳에 숨은 아인슈타인의 흔적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