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몸,국가,우주 하나를 꿈꾸다』, 김희정


김희정(지음)

판형 : 152*223mm | 분량 : 320쪽 | 정가 : 18,000원

종이책 ISBN : 978-89-5820-122-9 (93150)

출간일 : 2008년 3월 25일

분야 : 인문사회


자연으로부터, 인간 자신으로부터 그리고 인간 서로들 간에 멀어지고 낯설어진

현대문명의 병리를 치유할 수 있는 대안적 사유는 무엇인가!

고대 중국인들은 몸과 국가와 우주의 관계를 어떻게 총체적으로 파악했는가


황로사상(黃老思想)은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여기서 황로는 황제(黃帝)와 노자(老子)를 결합한 말이다. 황로사상을 이해한다는 것은 고대 중국인이 인간의 몸과 국가와 우주의 관계를 어떻게 총체적으로 이루고 살았는가에 대해 탐험을 해나간다는 뜻이기도 하고, 한계에 다다른 현대적 세계인식의 타산지석이 될 수 있음을 뜻한다. 덧붙여 중국사상이 발원하여 거대한 흐름을 이루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고, 그 속에서 태어난 한의학의 형성과정도 곁들여 알 수 있다. 즉 오늘날의 언어로 표현하자면, 황로사상에는 인문학과 의학(治身論), 사회과학(治國論), 자연과학(天地論)이 통합되어 있다.


저자는 황로사상을 몸, 국가, 우주라는 세 가지 축과 『황제사경』과 『관자』 사편, 『회남자』와 『황제내경』, 네 문헌을 중심으로 여러 다양한 사상적 영향과 흐름을 살펴보고 있다. 여기서 황로사상을 살펴보기 전에 그에 대한 현대의 연구경향을 언급할 필요가 있다. 황로사상은 우주론과 그것을 인간의 몸으로 실현하는 치신론 및 그 사회적 확장으로서의 정치사상인 치국론이 융합된 포괄적 세계관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황로사상 연구는 한대 초기의 정치적인 면을 중시하거나 우주론을 강조했다. 그것은 황로사상 연구자들이 유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했던 정치사상을 적극적으로 보여주려 하거나 유가보다 발전했던 우주론을 부각했기 때문이다.


저자는 『황제사경』과 『관자』 사편의 사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전국 중기에서 후기로 이어지는 황로사상의 전반적 성격을 보여준다. 그리고 전국 후기에서 한초에 이르는 황로계열의 문헌인 『문자(文子)』, 『할관자(짉冠子)』, 『열자(列子)』와 『여씨춘추(呂氏春秋)』에서 황로적 경향이 있는 부분의 성격을 개괄하고 있다. 이후 한대 황로사상을 집대성한 문헌인 『회남자』와 황로의 자연관에 근거해 다양한 의서와 양생서를 종합한 『황제내경』도 고찰하는데, 『황제내경』은 치신양생을 위주로 하는 의학문헌이기 때문에 그 이전에 있었던 양생서와 의료 관련 문헌도 살펴봄으로써 폭넓은 사상적 흐름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2009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저자ㅣ김희정

서강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마쳤다. 종교학을 전공했고, 부전공으로 철학과 신학을 공부했다. 중국사회과학원에서 방문학자로서 연구했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전학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지금은 서강대 등에서 동아시아 종교전통과 서양철학을, 연세대 의대 대학원에서 ‘의학과 종교’라는 주제로 강의하고 있다. 『몸, 국가, 우주, 하나를 꿈꾸다』『사람의 종교, 종교의 사람』(공저), 『철학, 삶을 묻다』(공저) 등의 책을 썼고, “Interpretation of Indian Buddhism through the Concept of Cosmic Resonance”, “L’image et au-delà” 등의 논문을 썼다.


 

차례



책을 내면서


1장 왜 황로사상인가

1. 황로사상의 위상

2.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3. 황로사상 연구사


2장 사상과 제도적 배경 1. 황제신화와 노자: 통일의 이념과 혼돈신화 2. 제도사의 문제 3장 『황제사경』 : 우주의 이법에서 문명의 질서가 출현하다 1. 우주의 질서 1) 도(道)와 천(天): 궁극적 실재의 관념 2) 음양(陰陽)과 리(理): 질서의 인식 3) 천지(天地)와 인(人): 우주 안에서 인간의 위상 2. 치신(治身): 몸 다스림 1) 신비주의와 치신 그리고 정치 2) 치신의 방법과 의미 3) 치신의 이상: 성인 되기 3. 치국(治國): 나라 다스림 1) 법(法): 우주의 질서에 근거한 사회제도 2) 형명(刑名): 수행과 직명 3) 형덕(刑德)과 문무(文武) : 통치의 양날 4. 맺음말 4장 『관자』 사편 : 치신양생술의 잊혀진 원천 1. 도(道), 덕(德), 정기(精氣)의 관계: 생명의 기원 2. 우주적 존재로서 인간과 치신 1) 인간의 위상과 마음 2) 몸과 마음의 수련 3) 유가의 영향 3. 치신의 확장으로서 치국 1) 무위(無爲)와 그 해석: 정인지도(靜因之道) 2) 명실(名實)과 형명(形名): 이름과 실제에 관한 해석의 심화와 정치 3) 제가사상의 융합과 성인의 이상 4. 맺음말 5장 전국 말기부터 한 초기까지 황로와 관련된 주요 사상의 흐름 1. 우주론의 발전 2. 감응관(感應觀)의 형성 3. 시령설(時令說)의 대두 4. 신선사상(神仙思想)의 발흥과 영향 5. 몸, 국가, 우주의 통합적 이해 6장 『회남자』 : 황로의 세계관을 집대성하다 1. 우주론: 신체적 우주 1) 동류상동론(同類相動論)과 감응관의 확립 2) 생성하는 우주 2. 소우주로서 몸 1) 형신론(形神論): 육체와 정신 사이 2) 인성론(人性論): 타고남과 되어감 사이 3) 치신론(治身論): 육신수련과 정신수련 사이 3. 역사와 정치 1) 역사와 우주 2) 이상적인 정치 4. 맺음말 7장 『황제내경』 : 감응적 우주와 위계적 국가 질서를 몸 안에서 통합하다 1. 『황제내경』 이전의 양생과 의료 관념 1) 무(巫), 의(醫), 신선(神仙), 방사(方士): 양생과 의료의 다양한 주체 2) 전국, 진한시대 양생서와 의료 문헌의 세계 2. 우주론 1) 기(氣)와 천인감응(天人感應) 2) 음양(陰陽) : 양극의 상보성 3) 사시(四時) : 사계절의 의미 4) 오행(五行) : 만물의 다섯 가지 국면 3. 몸 1) 신성한 우주가 몸 안으로 2) 국가 관료체제의 위계관념이 몸의 질서 안으로 3) 장(藏)과 부(府): 장기의 의미와 기능 4) 혈기(血氣)와 영위(營衛): 생명력의 부양과 자기방어 체계 5) 경락(經絡): 생명의 기운이 흐르는 길 4. 마음: 신(神)과 정신의 개념들 5. 치유와 양생 1) 질병의 인식: 정상과 병리 2) 치유와 양생의 이상적 방법: 자연의 질서를 따라서 3) 건강: 종교적 구원과 의학적 치유의 통일 6. 맺음말 8장 글을 마치며 참고문헌


몸 국가 우주 하나를 꿈꾸다_보도자료(주의요함)
.pdf
Download PDF • 380K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