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영민(지음)
판형 : 152*224mm | 분량 : 324쪽 | 정가 : 15,000원
종이책 ISBN : 978-89-5820-373-5 (03410)
출간일 : 2016년 4월 25일
분야 : 자연과학
소설책처럼 단숨에 읽히고 역사책처럼 큰 흐름이 잡히는 새로운 수학 교과서가 나타났다! 수학 공부법, 약간만 바꾸면 그 효과는 기대 이상입니다 최소한의 수학 지식으로 최대한의 수학 실력을 이끌어내는 법! 수학, “공식”이 아닌 “스토리”로 이해하라 ‘불량 아빠’와 함께하는 한 달간의 특별한 수학 강의! 내 아들 우식이와 그 친구 동현이는 이제 고등학교에 들어간다. 며칠 전 이 둘은 한목소리로 ‘수학 포기’ 선언을 했다. 동현이와 우식이는 둘 다 국어, 영어는 곧잘 하는데 수학에 자신 없어한다. 그냥 기계적으로 공식을 외워서 시험에는 근근히 버텨나가지만 왜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며 항상 툴툴거리고, 수학이 도대체 사는 데 왜 중요하냐며 대놓고 부모들에게 대들기도 한다는 소문이다. 나도 두 아이처럼 수학에 엄청 시달렸던 터라, 경험을 되살려 매일 한두 시간 수학 특강을 열기로 했다. 이 기회에 수학이 왜 필요한지, 왜 이런 수학개념들이 나왔는지 등 내가 그 시절 가졌던 의문들에 대한 답을 아이들에게 전해주려 한다. 아이들이 왜 수학을 공부해야 하는지 정확히 알 수 있다면 잃어버린 수학 공부의 재미를 찾지 않을까? _본문 중에서 ★ 고등학교 수학 교과과정(수학 I, 수학 II, 미적분)에 맞춰 새롭게 쓴 이야기 수학책! ★ 술술 읽히는 대화체 구성으로 읽다보면 나도 모르게 이해되는 수학 개념과 고등학교 수학의 지형도! ★ 수학 개념의 탄생 배경, 역사적 맥락을 알면 수학이 쉬워진다. 수학을 즐기는 새로운 눈을 갖게 해주는 책!
저자ㅣ장영민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전문연구원으로 근무하다가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 진학하여 공공정책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미국 뉴저지에 거주하고 있다.
차례
저자의 말
[수학 II]
Day 11 • 집합과 명제
Day 12 • 數의 체계와 집합 자연수에서 무리수까지 : 수(數)의 역사 | 심화수업 무리수와 초월수, 그리고 실수(實數) Day 13 • 함수 함수의 정의 : 함수는 어디에도 있고 어디에도 없다 | 함수의 수학적 의미 | 함수의 변신은 무죄 Day 14 • 함수 : 유리함수, 무리함수, 역함수 유리함수 | 무리함수 | 역함수 Day 15 • 수열과 수학적 귀납법 가우스의 등차수열 | 등비수열 | 피보나치 수열 | 무한등비수열 | 수학적 귀납법 Day 16 • 지수와 로그, 로그함수 네이피어와 로그 | 심화수업 로그 계산법의 원리 | 돈 좀 굴려보려면 오일러 상수 e 정도는 알아야지 | 자연로그 Day 17 • 라디안과 호도법 라디안은 왜 나온 거야? Day 18 • 삼각비와 삼각법 삼각비에서 삼각법으로 | 사인법칙과 삼각측량법 | 코사인법칙과 피타고라스 정리 Day 19 • 삼각함수 삼각비와 원형좌표 | 주기함수와 파스칼의 꼼수 | [미적분] Day 20 • 뉴턴의 미분 도대체 순간속도(순간변화율)가 뭐지? | 뉴턴의 미분 | 아주 작은 수 Day 21 • 라이프니츠의 미분과 미분법칙들 고등학생을 위한 구구단 | 곱셈의 미분법칙(라이프니츠의 공식) | 라이프니츠 공식의 의미 | 심화수업 적분의 개념과 역도함수 Day 22 • 적분 적분의 역사와 개념 | 적분은 그저 복잡한 곱셈일 뿐이다 Day 23 • 뉴턴과 라이프니츠, 영국과 독일의 미적분 논쟁 뉴턴 | 라이프니츠 | 뉴턴과 라이프니츠의 싸움 | 영국 수학의 정체(停滯) Day 24 • 극한의 이해 무한소와 극한 | 제논의 역설과 극한 Day 25 • 무한급수 무한급수을 이용한 0.999…=1 증명 | 조화수열과 음악성 | 심화수업 뉴턴의 이항정리와 무한급수 | 심화수업 무한급수와 미적분 | 오일러 공식 | 레온하르트 오일러 Day 26 • 극한(미적분)의 증명과정 미적분의 증명이 중요해진 이유 | 라그랑주와 미적분 | 심화수업 코시의 극한 증명 | 심화수업 연속성과 평균값 정리 | 코시 인물분석 Day 28 • 무한(∞) 개념의 역사적 의미 이탈리아와 영국의 ‘무한’도전 | 토머스 홉스 | 존 월리스와 영국 왕립학회, 그리고 새로운 수학 | 홉스와 월리스, 드디어 붙었다 Day ∞ 이렇게 고등학교 수학의 스토리는 이어진다 연표_ 고등학교 수학의 사건일지 참고문헌 찾아보기
Comentá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