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정령치 아래, 춘향의 묘가 있는 남원 구룡계곡을 탐방하고 온 날. 남원시외버스터미널 근처에 숙소를 정했다. 모텔은 낡았다. 눅진하고 희한한 냄새들이 컴컴한 계단에 잔뜩 뭉쳐 있었다. 꿈 없는 잠으로 정다운 고장인 남원에서의 밤을 건넌 뒤 화장실에 들러 얼굴을 씻는데 녹슨 수도에서, 한때 이 지역을 호령했던 부실한 사또의 아랫도리에서 나오는 그것처럼 물이 힘없이 흘러나왔다. 쫄, 쫄, 쫄. 이 지하자원을 손바닥 가득 받으려니 용을 써야 했다. 열 손가락에 힘을 주고 두 손을 쪽진 바가지처럼 옴방하게 모을 때, 해안선이 제법 복잡하게 발달한 도립한 세계지도 같다는 엉뚱한 상상을 했다. 물이 금방 손가락 해안선을 흘러넘쳤다.
비록 보잘것없다 하지만 나의 몸도 나에겐 대륙이다. 못 가본 곳이 아직 너무 많다. 무의식도 구조화되어 있다고 하는데, 내 의식의 저편에 나도 모르는 안방과 거실은 물론 지하실이나 다락방 같은 구조물이 있다는 것 아닌가. 지금 그 속에는 누가 존재하고 있을까. 한편, 내 생각의 주인은 나일까. 나는 과연 나를 온전히 유지, 관리, 통제할 수 있는가. 내 안의 무수한 거기로 연결된 계단을 밟아간다면 또 어떤 너머로 나는 나아갈 것인가. 이런 생각의 구조 속에서 주말임에도 지붕 아래 집에 있으면 그게 곧 또다른 지옥과 다름 없을 것이란 궁리가 일어나기도 한다.
최근 사나운 역병이 창궐하여 어쩔 수 없이 지붕 아래 기거하는 날이 많아졌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처음 생긴 오미크론이 단 며칠 만에 전 세계로 퍼졌다 하니, 지구는 참 좁고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가 보다. 나는 드넓은 세상의 한 조각이나마 발로 깨물며 디디고 싶은 충동에 오늘도 사정없이 시달리지만 당분간 이동을 자제해야 한다. 그런 조건의 하루에서 오에 겐자부로의 소설, <개인적인 체험>을 읽다가 다음의 문장을 만났다. “아프리카 대륙은 고개를 수그린 남자의 두개골 모양과 닮았다. 이 커다란 머리의 사나이는 코알라와 오리너구리와 캥거루의 땅인 오스트레일리아를 근심스러운 듯 내리뜬 눈으로 보고 있다”.
잠시 책을 덮고 세계지도를 검색해 보았다. 소설가의 말마따나 아프리카 흑인 남성의 그 밋밋한 두개골 모양의 아프리카 땅덩어리가 그곳에 있었다. 오, 기발한 상상력의 오에 선생님! 다시 책을 펼치면서 11시 방향의 공중에서 4시 방향의 바닥으로 제법 비딱하게 시선을 그어보았다. 너무나 건조하여 딱딱하게 말라 비틀어져가는 나의 하루가 구석에 처박혀 있었다. 망한 기분으로 잠깐이나마 춘향의 묘, 허름한 모텔, 다락방을 한 줄에 주르륵 엮으며 뻐근한 다리를 뻗었다. 두개골 이하의 한 띵띵한 육체가 만드는 작은 대륙이 그곳에 있었다.
2022. 01. 07
Comments